티스토리 뷰

반응형

 

◆ 한국 남성이 결혼하기 힘든 진짜 이유는?

 

한국 남성 결혼 힘든 이유는, 직장도 안정적이어야 하고 집도 있어야 결혼 가능할까

한국 남성 결혼 힘든 이유는, 직장도 안정적이어야 하고 집도 있어야 하고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그런데 근본적으로 성비가 불균형하다는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하 보사연)이 낸 건데, 1대 1로 매칭이 되더라도 미혼 남성이 많이 남게 된다는 것입니다.

 

2021년을 기준으로, 미혼 남성은 미혼 여성보다 20%나 더 많았습니다. 인구학적으로 보면 그만큼 미혼 남성이 여성보다 결혼하기에 불리한 조건입니다. 2020년 시점에서 1985년생(당시 35세)의 미혼율은 남성이 46.5%로 29.1%인 여성보다 높았습니다.

 

◆ 결혼 성비 불균형 심각

 

우리나라 남녀 성비 불균형

보사연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35세 비혼율 남성은 46.5%, 여성은 29.1%로써 미혼남이 20% 더 많으며, 심지어 대구는 35%에 이른다고 합니다.

 

과거 남아 선호사상 등의 영향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20%가량 많을 정도로, 미혼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보사연이 17일 발표한 보건복지 이슈 앤 포커스(449호)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 성비'를 보면, 2021년을 기준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능한 많은 미혼 남녀가 매칭이 되더라도 많은 미혼 남성은 남게 되는 것으로, 인구학적으로 보면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그만큼 결혼하기에 불리한 구조인 셈입니다.

 

◆ 지역별 미혼 남성 불균형 비율

 

지역별 성비 불균형 비율

▶ 미혼 남성 과잉 비율

- 서울이 2.5% 수준이었고 부산도 16.2%로 평균보다 낮았지만, 경북(34.9%), 경남(33.2%), 충북(31.7%)은 30%를 넘었으며, 경기(21.2%), 인천(21.0%)도 2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음

 

▶ 결혼 성비 불균형

결혼 성비의 불균형은 남녀 간 미혼율의 차이로도 나타났습니다. 2020년 시점에서 1985년생(당시 35세)의 미혼율은 남성이 46.5%로 29.1%인 여성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이처럼 미혼 남녀의 성비 불균형이 큰 것은, 남아 출생이 여아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오래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 출생성비

2020년 남아 성비 43년만에 최저, 역사로 남은 '남아선호'

- 출생성비(출생 남아가 여아보다 많은 상황)는 1970년대부터 자연성비를 초과하기 시작

-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중반까지 높은 수준이었다가 2007년부터 자연성비 범위 안으로 들어왔음

 

이에 따라 결혼 성비 불균형이 1990년대 초반 나타났고,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악화됐습니다.

 

▶ 남아 출생이 많았던 이유

 

남아 선호사상과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자녀의 성 선택 욕구 증가(가족계획사업)

- 남아 선호사상과 출산율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자녀의 성 선택 욕구 증가(가족계획사업)

- 초음파 검사 등 자녀의 성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공급 등의 요인

 

보고서는 "1970년부터 30년 이상 출생성비가 자연성비를 넘어서는 수준이 지속됐다"라며,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접어들었을 때 결혼 성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결혼 성비의 불균형이 특히 심각한 지역은, 1980~1990년대 출생성비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매우 불균형하다는 특징이 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 저출산위 조사 결과, 미혼여성 33% "결혼 생각 없다"

 

미혼여성 결혼에 거부성향 크게 늘어

정부 조사에서 미혼 여성 3명 중 1명은 "결혼 의향이 없다"라고 답했습니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 3월 29일부터 사흘간 전국에 거주하는 25~49세 남녀 2,000명을 온라인 조사한 '결혼·출산·양육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한 여성의 그 이유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한 여성은 그 이유로, '결혼에 따른 가사, 출산, 자녀 양육, 가족부양 등 역할에 대한 부담'을 가장 많이 꼽았다

저출산위에 따르면, 응답 여성 33.7%는 "나중에라도 결혼하고 싶지 않다"라고 답했습니다. 같은 답을 한 남성 비율(13.3%)보다 3배 가까이 높았습니다.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한 여성은 그 이유로, '결혼에 따른 가사·출산·자녀 양육·가족부양 등 역할에 대한 부담'(92.6%, 복수 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한 남성들은 '결혼식 비용·신혼집 마련 등 경제적 부담 때문에'(80.8%, 복수 응답) 결혼할 뜻이 없다고 했습니다.

 

결혼 의향 설문조사 결과

▶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답한 비율

자녀가 있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은 61.1%였지만 이 역시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었습니다. 특히 25~29세 여성의 경우 "자녀가 있어야 한다"라고 답한 비율은 34.4%에 불과했습니다. "자녀가 있어야 한다"라고 답한 같은 연령의 남성(66.2%)의 절반 정도였습니다.

 

◆ 왜? 이렇게까지 갈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이유

 

▶ 남아 선호 사상의 지속

 

남아 출생이 여야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오래 이어졌기 때문

남아 출생이 여야 출생보다 많은 상황이 오래 이어졌기 때문이었습니다. 출생 성비는 1970년부터 깨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자녀 수를 줄이면서 남성을 선호했다고 합니다.

 

▶ 초음파 검사 본격적 도입

 

초음파 검사 본격적 도입으로 태아 성별 식별이 가능했기에 남아 선호사상과 맞물려 돌아간 것도 큰 이유 중의 하나

또한 초음파 검사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도 한몫했는데, 바로 태아 성별 식별이 가능했기에 남아 선호사상과 맞물려 돌아간 것도 큰 이유 중의 하나 였습니다.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는 계속 남성 출생이 높은 수준이었다가 2007년부터 자연성비로 돌아왔습니다.

 

◆ 성비 불균형이 현재 미치는 영향

 

미혼 남성의 과잉 비율이 지방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30년간 계속됐던 성비 불균형이, 지금 결혼 적령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겁입니다. 이런 현상은 지방으로 갈수록 심했습니다. 미혼 남성의 과잉 비율은 서울 2.5%, 부산 16.2%로 평균보다 낮았지만, 경북 경남 충북 등은 모두 30%를 넘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영향으로 저출산율이 OECD 1위가 되었으며, 의학 기술 발달의 영향으로 초고령화의 시대가 도래하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지난 20일 윤 대통령이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하여, 범정부적으로 총력 대응 가동해야 한다고 발표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17~'21년 우리나라 출생아 수 추이(통계청)

반응형